[CESS 기획] GGGI·GCF 사무국 유치… ‘글로벌 그린리더’ 나선 한국 | |
---|---|
2017-09-28 16:12:04 | Hits
2088 |
[CESS 기획] GGGI·GCF 사무국 유치… ‘글로벌 그린리더’ 나선 한국
지속적인 가뭄이나 폭염, 혹한을 몰고 오는 기후변화는 지구상의 어느나라도 피해갈 수 없다. 파리기후변화협약 같은 국제 협약이 필요하고, 세계 각국이 기후변화 예방에 힘쓰는 국제기구를 만들어 각 나라의 협력을 끌어내는 이유다.
당시 GCF 유치에 나섰던 독일 스위스 폴란드 등을 제치고 우리나라에 사무국을 두면서 그동안 유럽과 북미에 편중된 환경 관련 국제기구의 지역적 불균형을 해소하는데 크게 기여했다는 평가도 받았다.
GCF는 재원을 온실가스 감축과 기후변화 적응에 절반씩 배분하는 것을 원칙으로 삼고 있다. 이 중 기후변화 적응과 관련한 재원의 50% 이상을 소규모 섬나라나 최빈 개도국, 아프리카 등 기후변화에 취약한 국가에 사용해왔다. 지금까지 103억 달러의 재원을 확보, 탄자니아 기후복원 프로젝트, 솔로몬제도 티나강 수력발전사업 등 44건의 사업에 23억 달러를 지원해왔다.
우리나라는 글로벌녹색성장기구(GGGI)도 설립, 운영하고 있다. 2010년 세워진 GGGI는 2012년 국제기구로 인정받아 한국 주도로 창설된 첫 국제기구로 기록됐다. 본부는 서울 정동에 있다.
GGGI는 개발도상국들이 성장과 환경보호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도록 에너지정책을 수립하고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게 돕고 있다. 설립에 힘을 쏟았던 이명박 정부가 물러나면서 한때 관심 밖으로 밀려나기도 했으나, 문재인 정부가 출범하면서 지속가능한 성장, 석탄화력발전 중지, 신재생에너지를 통한 성장동력 창출 등 국가의 에너지 발전전략이 바뀌면서 GGGI 역할에 대한 기대가 다시 높아지고 있다.
문 대통령도 21일(현지시간) 유엔총회 기조연설에서 “파리협정의 이행과 에너지정책의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으며, GGGI와 GCF를 통해 개도국의 기후변화 대응 지원에도 앞장서고 있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GCF와 GGGI 외에도 우리나라에는 한덕수 전 총리가 이끄는 기후변화센터라는 비정부기구(NGO)가 2008년 세워져 9년째 저(低)탄소 사회를 만들어가기 위한 다양한 국제 사업을 활발하게 벌여나가고 있다.
우리나라에 본부를 두지 않은 기후변화 대응 국제기구로는 세계 최대 민간 에너지구기인 세계에너지협의회(WEC)가 가장 긴 역사를 자랑한다. WEC가 주최하는 세계에너지총회는 ‘에너지 올림픽’이라 불리며 1924년 영국 런던에서 처음 열렸다. 3년마다 열리는 이 국제회의에서는 전 세계 에너지기업, 정부, 국제기구, 학계 등 에너지 분야 리더와 전문가들이 모여 지구가 직면하고 있는 에너지 현안에 대한 정보를 교환하고 해결책을 함께 모색하고 있다. 현재 95개 국가가 회원국으로 가입해 있다.
WEC 한국위원회는 1967년 설립돼 1987년 집행이사회를 우리나라에서 개최하는 등 지속적인 활동을 펼치고 있다. 2013년 10월 13~17일에는 대구에서 ‘내일의 에너지를 위한 오늘의 행동’이라는 주제로 세계에너지총회를 유치하기도 했다. 당시 총회는 우리나라 에너지산업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고, 국내 기업의 비즈니스 기회 확대에 기여하는 부수효과도 얻었다.
WEC는 인류가 직면한 에너지 핵심과제로 △에너지 안보 △형평성 △환경적 영향 등을 꼽고 ‘에너지 3중고(Trilemma)’라는 개념을 도입, 예측 가능하고 안정적인 에너지 정책을 수립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에너지 3중고’란 에너지는 안정적으로 조달할 수 있어야 하고 보편적 접근성을 갖춰야 하며 환경에 미치는 영향도 작아야 지속할 수 있지만, 3가지 기준이 서로 상충한다는 의미로 만든 신조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내에 설립된 국제에너지기구(IEA) 역시 기후변화 예방에 앞장서고 있다. 1974년 설립된 IEA는 당초 제1차 석유파동을 계기로 주요 에너지 소비국들을 위해 에너지의 안정적 공급선을 확보하고자 만들어졌다. 그러나 화석연료의 폐해가 광범위하게 확산되면서 신재생에너지, 즉 미래에너지의 안정적인 확보를 위한 연구개발 체계 구축에 적극 나서고 있다.
특히 IEA가 운영하는 5개 위원회 중 하나인 에너지연구기술연구회(CERT)를 두고 대체에너지에 초점을 맞춘 과학·기술 분야 연구를 지원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IEA에 2002년 가입했으며, 현재 가입국가는 우리나라를 비롯해 29개국에 달한다.
온실가스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탄소 배출을 감축하자는 목적의 국제배출권거래협회(IETA)도 지구 환경을 보호하는 일등공신에 속한다. IETA는 탄소를 효율적으로 줄이기 위해 세계은행, 유엔 등과 협력해 탄소시장 설계 및 기업투자 방안 등을 자문하는 탄소시장 관련 최고 전문기관이다.
우리나라에서는 탄소 배출권 거래 시장이 2015년 1월부터 운영에 들어간 상태다. 탄소 배출권 거래제는 정부가 기업들에게 온실가스 허용량을 부여하고, 기업들은 그 범위 내에서 남은 양을 매매할 수 있는 제도다. 국가 단위의 배출권 거래제 시행은 아시아에서 우리나라가 처음이다. 현재 유럽연합, 뉴질랜드, 스위스 등 30여개국에서 시행 중이다. 한국거래소가 주관 거래소 역할을 맡아 업체 간의 매매와 청산결제 업무를 맡고 있다.
이밖에 2009년 토마스 헬러 교수가 세운 기후정책이니셔티브(CPI)는 저탄소 경제시스템 구축을 자문해주기 위해 세워진 국제 기구다. 녹색채권 시장 활성화를 위한 비영리기구인 기후본드이니셔티브(CBI)는 탄소 감축, 건물 에너지 효율화, 신재생 에너지, 전기 자동차 등 친환경적인 활동과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 등 녹색산업 투자를 지원하기 위한 활동을 벌이고 있다. 선년규 기자 ngsun@etoday.co.kr <저작권자 ⓒ 이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