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부터 ‘기후금융’이다] “블록체인·가상화폐와 접목… 탄소배출권 거래제 결국 사라질 것” | |
---|---|
2018-01-08 15:05:54 | Hits
1439 |
“탄소배출권 거래제도는 결국 블록체인과 AI, 가상화폐로 인해 사라질 것입니다.” 세계는 지금 가상화폐와 블록체인, 인공지능(AI)에 대해 뜨거운 관심을 보이고 있다. 여기에 기후변화와 탄소배출권이 합세했다. 지난 5월 독일 본에서 열린 UN 기후 회의에서는 이더리움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기후변화에 대처하자는 방안이 제안됐다. 블록체인을 탄소 자산 거래를 촉진하는 데 사용하자는 제안이었다. 이와 같은 관심은 국내에도 확산됐다. 블록체인과 AI, 가상화폐 그리고 탄소배출권까지 모든 분야를 연구하고 내다보는 국내 전문가가 있다. 미래연구기구 ‘밀레니엄 프로젝트’의 한국 지부 ㈔유엔미래포럼의 대표이자 책 ‘세계미래보고서 2018’의 저자인 박영숙 대표다. 박 대표는 세계기후변화종합상황실 대표와 세계적인 미래 예측 기구 유엔미래포럼 대표를 맡고 있다. 박 대표는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가상화폐와 블록체인, AI 기술로 인해 탄소배출권이 결국 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탄소배출권 거래제도가 한창 언론의 관심을 받고, 가상화폐와 블록체인 기술이 어떻게 접목되는지가 관건인 이 시기에 사라진다는 그의 주장은 상상하기 힘들다. 박 대표는 “화석연료에서 태양광 에너지로 전환하기 위한 일환으로 새로운 가상화폐가 등장하기 시작했다”며 “이것이 에너지 전환의 인센티브로 작용해 일반인에게까지 상용화가 된다면 결국 지구의 화석에너지는 모두 소멸하고 태양광 에너지와 같은 신재생 에너지로 대체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 대표의 설명에서 가장 핵심은 ‘스위치 토큰(Swytch Token)’이다.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가상화폐가 각각 1세대, 2세대 가상화폐였다면 스위치 토큰은 3세대라는 게 박 대표의 설명이다. 스위치토큰은 스위스의 비영리 재단인 토큰커머스재단(TCF)에 의해 고안된 보안 토큰이다.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한 다용도 토큰인 스위치는 모든 사람들에게 저렴한 재생가능 에너지를 장려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청정에너지를 생산하는 이에게 스위치 토큰으로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방식이다. 하나 스위치토큰은 아직 적용된 기술이 아니다. 다만 박 대표는 이 기술이 탑재되고 상용화되기까지 2년이 걸릴 것으로 예측했다. 박 대표는 스위치토큰이 탄소배출권 거래제도에 적용되면 각 국가들이 지속가능한 에너지 생산을 통해 스위치토큰을 제공받고 이를 가지고 탄소배출권을 거래하면서 인센티브와 화폐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 대표는 이 같은 가상화폐와 블록체인, AI 기술을 ‘거부할 수 없는 물결’이라고 표현했다. 박 대표는 이들 기술이 합쳐진 세상이 곧 도래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 대표는 “현재 가상화폐로 돌아가는 돈이 전 세계 기존 금융시스템의 0.6%밖에 되지 않지만 5년 후 많게는 20%까지 차지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박 대표는 수수료가 없고 유통의 중간 단계가 생략돼 노동력이 사라지는 가상화폐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결국 기존의 금융이 붕괴될 것이라고까지 내다봤다. 그는 “가상화폐는 이 현상의 대안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는 ‘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 때문이다. 가상 플랫폼이 생성되고 이를 통해 개인과 개인 간 거래(P2P 거래)가 가능해지면서 노동력이 필요 없어지게 된다. 예를 들어 한 개인이 해외여행을 간 후 렌터카 서비스를 이용했다고 했을 때, 이용고객은 본인이 서비스를 이용한 기간과 그에 맞는 가격을 가상화폐로 바로 지불할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자 또한 플랫폼을 통해 손쉽게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진다. 이는 비단 렌터카뿐만 아니라 호텔과 은행, 더 나아가 법률자문회사에서도 도입돼 노동력을 줄여갈 수 있는 방안이다. 박 대표는 “변화를 받아들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더욱이 우리나라와 같이 자원이 부족하고 유일하게 인재와 노동력이 존재하는 시장에선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기후변화와 탄소배출권 거래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탄소배출권 거래제도는 매우 복잡한 프로세스를 수반한다. 수많은 이해관계자들이 얽힌 문제이며 숫자 계산 또한 매우 까다롭다. 이것을 손쉽게 하여 많은 이들이 관심을 갖게 하자는 발상 하에 제안된 것이 탄소배출권거래제도와 블록체인, 가상화폐와의 접목이다. 블록체인, 가상화폐, AI와 배출권 거래제도가 접목된다면 수많은 이해관계자와 숫자 처리 기술이 한 번에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또한, 보안에 뛰어나고 한 사람이 통제할 수 없는 블록체인의 특징 덕분에 미국, 러시아와 같은 강국이 자신들에게 유리하게 조절하든지 등의 독점을 막을 수 있다. 박 대표는 탄소배출권 거래제도와 블록체인 접목 기술에 대해 아직 국내가 상당히 뒤처져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현 한국의 상황이 이전 미국의 상황과 흡사하다고 말했다. 미국도 초기에 금융당국과 기업들의 가상화폐에 대한 반발이 심했다고 한다. 박 대표는 처음 주식이 거래됐을 때도 모든 것이 불확실한 상황이었다며, 세상에 나온 지 얼마 되지 않은 가상화폐를 주식처럼 받아들이고 이를 관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 대표는 “탄소배출권 거래제도에 블록체인을 도입한다는 건 언젠가 탄소배출을 없애겠다는 것”이라며 “어느 순간 가상화폐와 블록체인으로 탄소거래가 크게 의미가 없어지는, 기후변화 문제가 해소되는 시점이 2030년~2040년쯤 찾아올 것”이라고 내다봤다. 류정훈 기자 jungh216@etoday.co.kr <저작권자 ⓒ 이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출처] 이투데이: 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idxno=1580108#csidx7dabde437ddf52ba0c362a5105fd9ad
|